usb 파일복원 성공으로 공모전 출품
본문
아이돌봄서비스 공모전 수기 공모전 수상작 선정(대상 3, 우수상 9, 장려상 24)- 아이돌봄서비스가 가져온 변화, 사랑·성장·긍정 -여성가족부는「2024 아이돌봄서비스 수기공모전」심사결과, 총 36점**을 우수 수기로 선정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아이돌봄서비스: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에 아이돌보미가 찾아가 아동(12세 이하)에게 돌봄서비스를 제공(국정과제 ‘안전하고 질 높은 양육환경 조성’의 실천과제)** (이용자, 아이돌보미, 종사자 순) 대상 3점(1, 1, 1점), 우수상 9점(5, 3, 1점), 공모전 장려상 24점(11, 10, 3점)올해는 공모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작년 495점에 비해 67점 많은 562점*이 최종 접수되었습니다.* 이용자 272점, 아이돌보미 244점, 종사자 46점 접수가족 간에 돈독해진 사랑, 자녀와 부모 모두의 성장, 삶에 대한 긍정적 시각 변화 등 아이돌봄서비스가 가져온 따뜻한 변화의 사례가 다수 소개되었으며,아이돌봄서비스를 ‘새로운 가족, 육아 전문가, 돌봄세권, 부모돌봄서비스, 맞벌이 부부에겐 공모전 선택이 아닌 필수’ 등으로 표현하며, 아이돌봄서비스가 자녀 양육과 가정의 안정에 큰 도움이 됐다는 이용자들의 경험담이 많았습니다.이용자 부문‘직장인 엄마의 23년을 지켜준 아이돌봄서비스’(대상 권선화)에서는 23년차 직장인이자 세 아이의 엄마로서 아이돌봄서비스를 14년째 이용 중인 가정의 이야기로,큰아이가 8살이 되던 해, 7년 만에 찾아온 쌍둥이를 아이돌봄서비스 덕분에 경력 단절 없이 잘 키울 수 있었으며, 세 분의 공모전 어머니같은 아이돌보미 선생님이 가족을 온전하게 지켜주었다는 이야기입니다.‘돌보미 선생님도 우리 가족이야’(우수상 이은희)에서는 셋째 아이 입양 후 발견한 혈액암 말기의 절망적인 상황에서 ‘아이돌보미 선생님 덕분에 마음 편히 치료에 전념할 수 있었고, 아이돌보미 선생님과 가족의 사랑과 믿음으로 암을 이겨낼 수 있었다.’라고 전했습니다.세쌍둥이를 조산한 후 지방에서 서울의 병원을 오가며 아이들을 보살피고, 퇴원 이후에는 육아 전쟁으로 공모전 심신이 지쳐있던 세쌍둥이 엄마에게 아이들을 따뜻하게 품어줄 수 있는 여유를 가져다준 아이돌봄서비스 이야기(우수상 황지혜)도 있었습니다.이 밖에도 ‘할세권보다 든든한 돌봄세권’(우수상 박미소)에서는 타지에서 육아를 하면서 도움을 받을 곳이 없었는데, 아이돌봄서비스라는 ‘돌봄세권’에 살고 있어 든든하다는 사례도 있었습니다.아이돌보미 부문‘민우(가명)와 함께한 4년, 오늘도 설렘 속에 집을 나선다’(대상 김선혜)에서는 자폐 의심 행동의 조기 발견에서부터 치유까지 도움을 주고 공모전 노력해 온 아이돌보미의 활동 사례가 소개되었는데,‘기다림이야말로 교육의 미학이다’라는 신념을 갖고, 공감을 위한 노력, 아이의 마음 열기 등 아이돌봄 전문가로서의 전문성과 열정어린 돌봄의 자세가 돋보였습니다.쌍둥이를 포함해 네 형제 가정에서 아이들을 돌보며 아이들의 엄마가 정규직에 취업한 사례(우수상 이연향)에서는 아이돌봄 활동이 ‘아이들과 함께 자신 또한 성장하는 일’이라 말했고,이외에 청각장애 부모를 대신해 아이들의 생활 습관과 공모전 학습을 지도하고, 부모에게는 양육 상담자로서의 역할을 다한 사례(우수상 심진숙)도 접수됐습니다.종사자 부문‘흔들린 나무가 숲을 이룬다’(대상 이선옥)에서는 상담, 교육, 양육코칭 업무를 담당하는 종사자로서 ‘아이돌보미 선생님들은 이용가정과의 관계에서 흔들림을 겪는 나무와 같다.’라면서흔들림의 순간들을 이겨낸 나무들이 마침내 행복한 아이돌봄이 있는 큰 숲을 이루는 꿈을 꾸며 아이돌봄 사례관리사로 계속 일하고 싶다는 다짐을 전했습니다.이밖에 ‘아이돌봄은 아이돌보미 선생님과 공모전 이용가정이 만들어낸 감동과 서사가 있는 사업으로 종사자는 뒤에서 묵묵히 사업을 이끌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수기(우수상 최규리)도 있었습니다.수상작으로 선정된 수기는 아이돌봄서비스(idolbom.go.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향후 사례집으로 제작하여 전국 서비스제공기관 등에도 배포할 계획입니다.신영숙 여성가족부 차관은 “여성가족부는 믿고 맡길 수 있는 아이돌봄서비스를 더욱 확대해, 양육 지원이 필요한 가정들이 아이와 함께하는 행복한 미래를 만들어갈 공모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