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포딩닷컴이 알려주는 2024년 1월 항공 트렌드!
본문
포워딩의 포딩 새로운 경험,디지털 포워딩 서비스 '포딩닷컴'에서알아두면 쏠쏠한 항공 트렌드를 알려드립니다!요즘 홍해 사태로 무역업계가 술렁이는 가운데,24년 1월 항공 업계 시황은 어떨까요?01글로벌 항공 화물 수요의 지속적인 성장세!ⓒ Sources: IATA Sustainability and Economics. IATA Monthly Statistics2023년 11월, 글로벌 항공 화물 수요 성장률(CTKs: Cargo Tonne-Kilometres)은 COVID-19 발생 이전인 2019년 동월에 비해 2.5% 감소하였으나, 전년 동기 대비 8.3%의 급격한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안정적인 세계 무역 수치와 인플레이션 완화 등의 영향으로 항공 화물 수요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02한국 항공 물동량의 증가 추세가 지속!2023년 12월, 한국 항공 물동량이 24.6만 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6.4% 증가하였으며 전월 대비 0.7% 증가했습니다.수출(23년 12월)은 12.4만 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9.6% 증가하였고, 전월 대비 1.8% 감소하였습니다.수입(23년 12월)은 12.2만 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3.4% 증가하였고, 전월 대비 3.5% 증가하였습니다.인천발 항공 수출입 물동량• 직화물, 환적화물, EMS 포함 •출처: 인천국제공항공사03TAC 항공운임 지수2023년 12월, 홍콩-북아메리카의 운임 지수는 1kg당 포딩 7.1달러로 가장 높았고, 홍콩-유럽의 운임 지수는 1kg당 5.36달러, 프랑크푸르트-북아메리카의 운임 지수는 1kg당 2.35달러를 기록했습니다.ⓒ Baltic Exchange Air Freight Index (BAI) powered by TACData, Copyright: BalticExchange. Chart created by Air Cargo News* TAC 항공운임 지수는 홍콩에서 발표하는 아시아발 항공 화물 운송지수로 지수 상승 시 항공 화물 운임의 단가 상승을 뜻함04항공 업계 시황2023.12 - 2024.01 전망1) 미주· 24년 1월 중국발 해상 및 항공 고정 수요와 인천발 항공 고정 수요가 약세 상황, 그러나 항공 운임은 23년 12월 하반기 운임 수준 유지· 1월 하반기부터 2월 중국 춘절 및 연휴 기간 이전 항공 수요 회복 전망· 홍해 사태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혼란 장기화 우려, 아시아-북미 태평양횡단항로의 해상 컨테이너 운임 인상으로 항공 수요 증가 시 항공 운임 상승 가능성 有· 삼성 휴대폰 신규 모델 출시로 동남아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T/S 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2) 유럽·중동·아프리카· 24년 1월 포딩 일시적으로 항공 고정 수요가 약세 상황이나, 홍해 사태 이슈로 인한 재고 확보 목적의 항공 수요 증가 기대로 항공 운임은 23년 12월 하반기 수준 유지 예상3) 동남아/서남아· 24년 1월 항공 수요 약세 상황이나, 1월 3주 차 삼성 휴대폰 언팩 행사 영향으로 동남아향 수요 증가 예상· 중동계 항공사의 미주, 유럽향 물량 수요 지속으로 서남아 항공 운임은 23년 12월 하반기 수준 유지4) 중국 · 중국향 수요 및 대만의 반도체 장비 수요가 소폭 증가하는 추세5) 일본· 전자상거래 수요의 지속적인 약세 상황05주요 지역 시황1) 미주미국 중앙은행 연방 준비 제도가 전망한 미국 경제 물가 상승률은 2.4%로 안정화 수치이며, 기준 금리는 세 번 내려 4.6%로 인하될 예정이지만, 경제 성장률은 1.4%로 냉각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미국 경제에서는 연간 성장률이 3%에 도달하면 건전한 성장으로 간주합니다.미주 지역의 항공사 동향은 이커머스 물량 증가로 인해 미국으로 향하는 항공기 수가 증가하고 있어, 미국에서 출발하는 포딩 화물 운송은 여유로운 상황입니다. 연말과 연초에 발생하던 화물 적재 부족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Flexport Webinar에 따르면 내년 물량은 올해 대비 2~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내륙 운송의 경우, 미국의 쇼핑 시즌 돌입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중동부 중심의 날씨 영향으로 연말부터 연초까지 트럭 운송 지연과 애로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 미국의 운송 업체들은 자율 주행 및 로봇 화물 서비스에 대해 운전자 탑승 의무화를 두고 캘리포니아 산업계와 노동계가 대립하고 있습니다. 자율 주행의 상용화는 트럭 운전자의 감소로 인한 필요한 요소이지만, 기존 운전자들의 일자리 감소 우려로 인해 운전자 탑승을 의무화하는 법안이 발의되고 있습니다.2) 유럽독일· 대한항공(KE)과 아시아나항공(OZ)의 화물 운송료(FSC)는 지난 10월 1일과 10월 10일부터 각각 1.3유로/kg로 인상, 항공 화물 물량 소폭 상승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콴타스항공(QY),루프트한자(LH) 등 모든 항공사의 화물 탑재율(LoadFactor)이 100%를 기록· 내륙 운송은 12월 1일부터 트럭에 대한 이산화탄소(CO2) 세율 부과로 인해 내륙 운송 비용이 10% 상승할 것이탈리아· 대부분의 포딩 공장들은 2023년 12월 25일부터 2024년 1월 7일까지 2주간의 연말연시 휴가를 실시· 트럭킹 회사들도 대부분 휴가에 동참, 밀라노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트럭킹 서비스가 제한, 1월 8일부터 정상적인 운영 재개· 대한항공 화물기 D1편은 2023년 12월에는 운항되지 않았지만, 2024년 1월부터 운항이 재개, 기존 주 3회 운항에서 주 4회로 공급 증가3) 아시아인도· 1월 1일에 시작된 뭄바이 및 마하라슈트라 주 운전기사 파업은 1월 3일 오후에 종료, 기사들의 정상적인 업무 복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 항공 운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파업의 원인은 BNS(인도 사법 규범: Bharatiya Nyaya Sanhita) 시행으로 인한 뺑소니 사건의 엄격한 처벌 규정 때문싱가포르· 주 1회 싱가포르(SIN)-인천(ICN)으로 운항되던 PO 747 화물기가 11월 30일부터 운항이 중단대만· 2023년 하반기(4분기) 항공 화물 운임은 현상 유지 또는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 벨리 공급이 확대되면서 항공 화물 수요가 증가 - 일부 수요가 집중되는 지역을 제외하고는 당분간 항공 포딩 운임이 상승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필리핀· 필리핀 입국 여행객 수가 대폭 증가하고 있어 여객기의 화물 공간이 현재 제한적· 안정적인 공간 확보를 위해 사전 부킹이 필요한 상황4) 중국 · 일본중국· 상하이: 푸둥(PVG)-인천(ICN) 노선이 연말에 맞춰 시장 물량이 증가했지만, 크루 스케줄 조정 등 중국화물항공(CK), 아시아나항공(OZ) 출항 항편이 감소하여 12월 항공 운임이 다소 인상· 광저우: 12월 2주 차 기준 운임이 대폭 인상되어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자체적으로 차터(전세를 내어 사용하는 경우)를 진행하는 경우가 증가, 동남아로 향하는 공급이 회복되지 않아 화물 공간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 지속일본· 10월 일본의 경상수지 흑자는 2조 6천억 엔(약 180억 달러)로 9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 주요 원인은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1985년 이후 최대치· 11월 773개의 기업이 법적 청산 절차를 시작, 기업 파산 수치는 19개월 연속 증가 추세· 항공사 동향 - 대한항공(KE)은 2024년 4월 26일부터 나리타(NRT) ― 호놀룰루(HNL) 노선을 재개 - All Nippon Airways(NH)는 포딩 2024년 2월 22일부터 중거리 신브랜드「AirJapan」으로 인천(ICN) ― 나리타(NRT) 노선을 취항 -Japan Airlines(JL)는 2024년 3월 31일부터 하네다(HND) ― 도하(DOH) 노선을 운항, 일본 항공사로는 최초 중동 직항을 개설, 2024년 2월 19일부터 약 13년 만에 자사 전세편 운항을 재개, 나리타국제공항(NRT)와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등 2개 공항을 기점으로 상하이, 서울, 타이베이 등 동아시아 주요 3개 공항에 중형 화물기인 B767F 기종을 운항 중by. 포딩닷컴06항공사 시황1)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유럽연합(EU) 경쟁당국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으로 인한 노선 독점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유럽 노선 운수권 등을 이관 받을 것으로 알려진 티웨이항공에게 ‘정보 요청(RFI: Requests for Information)'절차를 마무리했습니다.유럽연합(EU)은 아시아나항공의 화물사업 매각을 전제로 하여, 2월 14일까지 조건부 승인 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에어프레미아, 이스타항공, 에어인천, 제주항공 등 항공사 4곳이 아시아나항공의 화물사업 인수에 관심을 나타내어 인수 의향서(LOI: Letter of Intent)를 제출하였습니다.대한항공은 3월 1일부터 전자 항공화물운송장(e-AWB)의 시행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종이 운송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당 15,000원의 포딩 부가료를 징수할 예정입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준에 따르면, 2024년 1월에 한국에서 출발하는 국제선 화물의 유류할증료(FSC: Fuel Surcharge)가 싱가포르 항공유의 현물 시장가 기준 2023년 12월에 비해 1단계 인하되었습니다.구분적용기간 (단위:원)23.09.16-23.10.1523.10.16-23.11.1523.11.16-23.12.1523.12.16-24.01.1524.01.16-24.02.15단거리81중거리85장거리910by. 포딩닷컴에미레이트항공(EK) : 2월 19일부터 인천-두바이 노선의 여객기 운항이 주 7회에서 주 10회로 증편될 예정입니다.웨스트젯항공(WS) : 5월 17일부터 인천-캘거리 노선의 여객기 운항이 주 3회로 예정되어 있습니다.실크웨이항공(7L) : 실크웨이항공은 아제르바이젠 바쿠(BYD)를 HUB로 운항하는 화물 항공사로 현재 11대의 화물기를 운항하고 있습니다. 2030년까지 화물기 9대를 추가로 도입할 예정입니다.2024년 1월의 항공업계는글로벌적으로 항공 화물 수요와한국 물동량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요!다만, 홍해 사태 이슈 등으로 인해항공 수요가 증가하고 운임이 인상될 가능성이 있으니,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잠깐!지금 포딩닷컴에 가입하고,모바일 상품권 받아 가세요!새해는 더 똑똑하게 일하는 법!지금 포딩닷컴 가입하고, 정회원 전환하면네이버페이 5천원권 + 배달의민족 2만원권을모두에게 드려요!아래 이미지를 클릭해 이벤트에 참여하세요❤
댓글목록 0